연수원에서 직원을 채용하려고 합니다. 예전이라면, 집합교육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운영하는 교육담당자를 채용하려고 한다면, 교육공학 , 교육학 출신의 교육전문가를 채용하면 되겠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런 채용 면접은 일반적인 질의응답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 코로나 상황에서 집합교육을 하지 못하고, 온라인 즉 비대면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상황이고, 또 코로나 이후에도 교육의 방법, 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니즈변화를 고려하여, 채용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면접으로 연수담당자를 채용을 준비해야 할까요?
- 고민요약
-
코로나 이후에도 교육의 방법, 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니즈 변화를 고려하여, 채용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면접으로 연수담당자 채용을 준비해야 할까요?
-
김광일 코치의 솔루션
-
교육훈련 전문가 채용을 위한 면접상의 팀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봅니다.
1. 기본적인 기업체 연수에 대한 기본 역량을 점검합니다.
- 교육과정의 개발 프로세스 이해 (니즈분석-학습목표-과정설계-과정개발-평가방법설계-평가방법개발 등)
- 교육과정 운영의 프로세스 이해 (집합교육과정의 운영 방법과 온라인 과정의 운영방법의 차이점)
- 교육기획 및 보고서 작성
2. 산업변화의 트랜드 이해 및 인사이트 역량 점검
- Digital Transformation에 따른 교육의 트랜드 이해
(산업 변화의 이해(자동차 산업 엔진자동차->전기자동차로 변화, 반도체 산업의 변화, 가전산업의 변화, 산업 변화에 따른 교육방향의 변화 이해)
- DX에 따른 학습자들의 변화 방향 이해
(산업변화에 따른 교육의 필요점은 무엇인가? 일반직원들의 필요점, 리더들의 필요점은?)
3. 프로젝트 운영 역량 점검
- 재학시절의 프로젝트 경험 및 경험을 통해서 학습한 내용은 무엇인지?
- Dx 환경변화에 따른 프로젝트 부여 후 실행력 점검
(Learning Journey 관점에서 교육 기획 방안? AI/Big Data를 활용한 교육훈련의 방안? Big Data를 활용한 교육결과 분석 방안?)
- 프로젝트 기획/실행계획 점검
(프로젝트 기획의 실현가능성/ 독창성/ 실행방안의 구체성 등)
- 보고서 작성 및 프레젠테이션 점검
4. 어떤 교육훈련 전문가를 지향하는지?
-자신의 강점, 강점을 발휘하여 지향하는 교육훈련 전문가의 상은?
-셀프 리더십 역량 점검. (전략적 사고, 글로벌 마인드, 등)
좋아요 1
-
코치의 솔루션
-
고객님 많이 힘드셨겠어요. 괜찮습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의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 감정을 통해서 우리는 배움을 느끼고 더욱더 발전된 자신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자존감이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즉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 마음 상태가 곧 자신의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게 되지요. 자신감이란 자존감에서 비롯되게 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는 바로 행복입니다. 그 행복의 근간이 되는 것이 바로 자존감입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자신감은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입니다. 그러나 자존감 만큼은 항상 우리가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행위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진다면 나의 내면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