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학 후 전공을 선택하고 입학했지만, 나의 강점이 무엇이고, 무엇을 잘하는지, 무슨 재능이 있는지? 에 대해서 고민하고, 또 향후 진로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되고 있습니다. 남자라면 군대다녀와서 생각하지 할 수 있지만, 1학년 대학생을 마칠 때에는 어느 정도의 진로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고, 2학년부터 준비하고, 준비해야 취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봅니다. 2학년 때까지 저의 진로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정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고민요약
-
대학생인 나는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 무엇을 잘하는지? 무슨 재능이 있는지? 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향후의 진로도 모호한 상황이서 답답하다.
2학년 생이 되면서 진로의 방향을 정하고 준비하고 싶다.
-
김광일 코치의 솔루션
-
1.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기
- 주변에서 칭찬을 받았거나, 자신이 일이나 공부를 하면서 재미 있거나, 몰입했었던 사건들을 나눈다.
그 상황을 생생하게 다시 리뷰하면서, 동기를 부여하고, 이런 일을 통해서 발휘된 강점을 탐색하게 한다.
- 진단지 (Strength Finder 도서를 구입하여 진단 (34개 항목 중 자신의 강점 10가지), 강점 무료진단지 활용)
2. 자신의 약점 및 단점 나누기
- 현재 자신의 개선할 점이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약점, 단점이 드러나는지? 사건들을 나눈다.
그 상황을 생생하게 다시 리뷰하면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제대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 삶에 있어서 개선하고져 하는 항목 10가지 정도를 나열하게 하고, 그 중에서 단기적으로 개선가능한 것과 장기적으로 개선 가능한 것으로 구분한다.
3. 자신의 개선할 점을 자신의 강점으로 개선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단기적으로 개선할 점을 중심으로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게 한다.
(고객은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동기와 의욕이 생기며, 이를 통해서 개선할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동기도 높아짐 - 즉 자신감이 발휘된다.)
- 개선할 점A 항목 - 이 항목을 개선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신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그 강점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4. 강점을 활용한 자신의 개선할 점 개선 방안에 대한 실행의욕과 성공 가능성을 점검하고,
실행의지를 발표하게 한다. 구체적인 일정,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 이를 확인해줄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는지? 즉 상호책임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좋아요 1
-
코치의 솔루션
-
고객님 많이 힘드셨겠어요. 괜찮습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의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 감정을 통해서 우리는 배움을 느끼고 더욱더 발전된 자신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자존감이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즉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 마음 상태가 곧 자신의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게 되지요. 자신감이란 자존감에서 비롯되게 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는 바로 행복입니다. 그 행복의 근간이 되는 것이 바로 자존감입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자신감은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입니다. 그러나 자존감 만큼은 항상 우리가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행위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진다면 나의 내면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