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는 업무뿐만 아니라 상사관계, 고객대응, 가정 화합 등을 위해 중요한데 마음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우선 인간관계기법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것이 도움을 받고싶습니다.
- 고민요약
-
-
유상희 코치의 솔루션
-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죠. 나로부터 시작해 가족, 친구,이웃,연인등등 새롭게 만나기도하고 헤어지기도하고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손절하기도하며 미성숙한 유년기를 거쳐 성인이 되기까지 많은 인간관계가 형성됩니다.
학생은 학교에서 , 성인은 삶의 현장에서 직업을 갖고 직장을 다니면서 업무적으로 연결된 인적네트웍을 형성하게됩니다.
인간관계는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 행동유형, 소통 기법 등의 개발을 통해 강화 될 수 있습니다.
MBTI, DISC, TA교류분석,에니어그램, Big5, 등등의 성격심리진단을 통해 먼저 자기를 이해 하고 ,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접점에서 어떤 패턴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며 행동의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알아봅니다.
인간을 이해하고 관계를 돈독하게하며 일과 삶에서 소통을 하는데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성격, 가치관, 이해도, 일하는 방식, 소통하는 방식 등을 이해 할 수 있기를 언합니다.
직장에서는 상사와 동료, 후배들이 팀을 운영하는데에 공동의 성과지표를 가진다거나 중간에서 위로 아래로 연결해 성과를
만드는 당신이라면 갈등이나 잡음없이 원할하게 상대의 방식에 맞추어 업무를 하고 능동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나와 다른 사람을 \'틀리다.\'라고 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다를 수 있다.\' 그저 온전히 \'다를 수 있구나~\' 를 탄력성있게
받아들이도록 합니다.
보다 든든하고 효과적인 인간관계는 어떤 것인지? 어떻게 잘 지내고 싶은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인간관계를
해왔는지? 더 좋은 인간관계는 어떤 살태를 말 하는것인지 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좋아요 0
-
코치의 솔루션
-
고객님 많이 힘드셨겠어요. 괜찮습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의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 감정을 통해서 우리는 배움을 느끼고 더욱더 발전된 자신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자존감이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즉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 마음 상태가 곧 자신의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게 되지요. 자신감이란 자존감에서 비롯되게 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는 바로 행복입니다. 그 행복의 근간이 되는 것이 바로 자존감입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자신감은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입니다. 그러나 자존감 만큼은 항상 우리가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행위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진다면 나의 내면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