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압감에 시달려 있다. 혼자 있고 싶다.
종종 발생하는 편두통에 만사가 귀찮다.
하는 일이 많아 집중이 안되고 일의 성과가 미진하다. 의욕이 떨어진다. 스트레스가 가득 차있다.
백살까지 산다는데 건강관리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모르겠다.
바쁜 일상중에 휴식의 시간을 내기 어렵다.
허겁지겁 일에 쫒겨 산다. 시간에 쫒긴다. 지친다
직장일에 가정일에 백배부담 너무 지친다. 사는 이유를 모르겠다.
운동과 취미가 없다. 삶의 균형을 위한 운동이나 활동이 무엇일지 모르겠다.
- 고민요약
-
1. 일상에 지쳐있다.
2. 일과 휴식이 중복되어 있다
3. 적당한 취미생활과 운동을 하였으면 한다
4. 몸과 마음, 정신의 균형을 맞추고 싶다
-
이봉철 코치의 솔루션
-
1. 사는 것은 무엇일까요
삶의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사는 것인데요
우리에게 물질과 건강은 모두 필요합니다.
특히 지금시대는 백세건강시대입니다.
2. 구분하는 삶을 가지실 필요가 있습니다.
인간은 일 하는 시간과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시간속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호모루덴스와 호모사피엔스의 균형있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일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건강이 전제되는 놀이의 인간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요
백세시대에는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고 있기 때문에 의식주의 생존을 위한 삶보다는 세상 놀이를 즐기면서 가치를 찾는 삶이 행복한 삶이 될 것입니다.
3. 핵심은 정신건강입니다.
우리는 일의 성과를 내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욕망과 욕심 때문에 건강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전체 인구중에 30% 이상이라는 통계는 우리에게 임팩트를 줍니다.
일의 압박감, 과로, 과도한 편중, 무의식 등은 자신의 육체와 건강을 헤치고 있습니다.
인간은 지혜로운 인간이기에 경쟁사회에서 자신을 이기는 비결은 아이의 유연성입니다.
위기를 극복하는 유연성은 자신이 가야하는 등불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일과 여가의 균형은 삶의 중심을 찾는 센터링입니다.
센터링은 과거에 집착하지 않고 미래를 위해 현재의 나를 깨어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삶의 균형은 일과 여가의 균형으로서
정신건강이 그 중심에 있습니다.
4. 결론은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게 됩니다.
특히 트라우마, 스트레스, 우울증 등은 정신건강을 해치는 최악의 적입니다.
나이에 맞는 운동생활과 취미활동은 건강을 유지하는 최선의 선택일 것입니다.
일과 여가의 균형, 정신과 육체의 균형은
정신건강, 육체건강을 챙기는 몸과 마음 정신의 교류에 있습니다.
삶의 질을 높여주는 삶은 의도한 대로의 삶과 환경을 조성하여
실행하는 삶으로서 자존감을 높혀 나가시길 권유합니다.
좋아요 0
-
코치의 솔루션
-
고객님 많이 힘드셨겠어요. 괜찮습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의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 감정을 통해서 우리는 배움을 느끼고 더욱더 발전된 자신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자존감이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즉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 마음 상태가 곧 자신의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게 되지요. 자신감이란 자존감에서 비롯되게 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는 바로 행복입니다. 그 행복의 근간이 되는 것이 바로 자존감입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자신감은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입니다. 그러나 자존감 만큼은 항상 우리가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행위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진다면 나의 내면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