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무슨 일을 시작 하려면 늘 부정적인 생각이 먼저 떠오르고 실패할 것만 같아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자신감을 갖고 추진력 있게 일을 시작할 수 있을까요?
- 고민요약
-
모든 일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만 보고 실패를 대비하지 않는다면, 일이 예상과 달리 진행될 때 빠른 대처가 어려워져 위험한 상황에 쉽게 빠질 수 있으니, 일을 시작하기 전에 실패를 대비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고 정상적인 사고방식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항상 실패에 대한 두려움부터 먼저 강하게 떠올리신다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생각이 가져다 주는 큰 에너지(추진력)를 받기 어려울 수도 있겠습니다.
-
나성우 코치의 솔루션
-
1. 자신감이란 단어의 정의는 \'자신을 신뢰하는 마음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믿음에 기반하여 우러나오는 것\'인데, 혹시 평소에 사람/사물/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면만을 유독 강조하여 되씹는 습관이 있는 것은 아니신지요? 만약 그런 습관이 있으시다면, 이미 그 부정적인 신념이 잠재의식 깊은 곳에 또아리 틀고 있으면서 언제든지 긍정적, 낙관적 신념보다 먼저 나서려고 하겠어요. 결국 발목에 차여진 큰 쇠사슬처럼 앞으로 나서려는 우리의 걸음거리를 꽉 붙잡고 놓아주지 않으려 할 것입니다.
2. 만약 그렇다면, 자신감이란 단어를 반대로 아래와 같이 해석해보면 어떨까요?
- \'자신감이란 - 평소 작은 것이라도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믿음에 기반한 삶을 살아간다면 - 저절로 우러나오는 것이다\'
일상 생활 속에서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작은 믿음부터 키워나간다면 자신감이란 저절로 우러나오리라 믿습니다. 우리는 어린아이가 넘어지면서 걸음걸이를 배운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타인에게 했듯이 자신에게도 여유를 주고 기다려주면 좋겠습니다. 경영학에서는 \'작은 실패를 초반에 싸게 하라\'란 말이 있습니다. 작은 실패는 수습하기도 쉬우니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오히려 실패를 수습하여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경험이 축적된다면 업무 역량은 당연히 키워질 것이고 자신감 역시 저절로 쑥쑥 커갈 것입니다. 이것은 자신과 타인을 육성할 때 매우 중요시되는 리더십 스킬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3. 다만 기다려주는 대상이 타인이 아닌 자신이기에 오히려 더 쉽게 생각하고 조바심으로 재촉하게 되는 것은 아닐런지요. 이러한 조바심이 드는 마음을 잘 통제하지 못하면 무의식 깊은 곳의 부정적 신념이 또다시 긍정적 낙관적 신념을 밟고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겠지요. 그래서 우리 곁에는 \'라이프 코치\'가 필요한 것입니다. 넘어지면서 걸음걸이를 배우는 어린아이의 어머니처럼, 라이프 코치의 지지와 응원의 코칭을 통해 우리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스스로를 볼 수 있고, 어느덧 부정적 신념에게 쉽게 휘둘리지 않고 용기와 자신감을 갖춘 자신을 만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부디 이곳 \'코치톡\'에서 훌륭하신 코치님들과 함께 좋은 경험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항공사 전문 코치 나성우 드림.
좋아요 1
-
코치의 솔루션
-
고객님 많이 힘드셨겠어요. 괜찮습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의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 감정을 통해서 우리는 배움을 느끼고 더욱더 발전된 자신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자존감이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즉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 마음 상태가 곧 자신의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게 되지요. 자신감이란 자존감에서 비롯되게 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는 바로 행복입니다. 그 행복의 근간이 되는 것이 바로 자존감입니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자신감은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입니다. 그러나 자존감 만큼은 항상 우리가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행위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진다면 나의 내면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말입니다. …